탐방로 구간별 난이도

  1. 1등급
    매우쉬움
  2. 2등급
    쉬움
  3. 3등급
    보통
  4. 4등급
    어려움
  5. 5등급
    매우어려움
Download

구간별 경유지

방광마을 – 난동갈림길(4.2km) – 구리재(3.7km) – 탑동마을 (3.7km) – 산동면사무소(1.4km)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방광마을과 구례군 산동면 탑정리 탑동마을을 잇는 13km의 지리산둘레길. 방광-산동 구간은 지리산국립공원을 이웃하며 걷는 임도와 마을을 잇는 옛길로 구성된다. 광의면 방광리 일주도로 입구에 위치한 천은사도 여유가 되면 둘러볼 수 있다. 난동마을을 지나 당동 예술인마을을 돌아가다 보면 조선시대 남악사터와 대전리 석불입상을 볼 수 있다. 지초봉 일대는 구례수목원과 접해있어 다양한 숲자원을 만난다. 진시황의 명을 받은 서불이 와서 불로장생 약을 찾았다는 지초봉 옆의 구리재에 올라서면 구례분지의 넓은 풍광이 한눈에 들어온다.

구례센터

전남 구례군 구례읍 서시천로 90-11 / 061-781-0850

1. 방광마을, 참새미골, 소원바위
방광마을의 유래에는 두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하나는 천은사에서 수도하던 우번대사가 성불하여 휘황한 빛을 발하였다고 방광(放光)이란 이름이 생겼다는 것과, 두 번째는 옛날 마을 판관(判官)이 주재하던 곳이어서, 판괭이로 불리우다 방광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마을 가운데 있는 당산 느티나무와 돌담길은 이 마을의 오랜 역사를 말해준다. 또한 방광마을은 천은사와 성삼재로 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마을 아래 천은사 계곡에서 흘러온 물줄기가 참새미골을 이루고, 여기에는 마을에서 운영하는 물놀이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마을 입구에 있는 소원바위는 지리산 산신이 참새미골에 자주 놀러 왔다가 자식을 낳지 못하는 아낙네가 바위를 품고 간절히 소원을 비는 모습을 보고 아들을 가져다 주었다는 전설이 깃들어 있다.
2. 대전리석불입상
1200그루의 감나무가 있는 상대과수원을 지나면, 마을사람들이 미륵골이라 부르는 곳에 부처님 한 분이 계신다. 9∼10세기경 고려초기에 만들어진 대전리 석불입상은 불법을 관장하는 비로자나불의 상징인 지권인 수인을 하고 있다. 높이 190cm의 석불입상의 늠름한 자태는 후삼국을 통일한 신생국가 고려의 강력함을 표현하고, 보다 적극적인 중생구제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전체적으로 몸체와 수인(손)의 형태는 잘 남아 있지만, 얼굴은 많이 훼손되어 있는데, 아마도 부처님의 코를 만지면 아들을 낳는다는 토속신앙의 영향일 것이다. 대전리 석불 옆에는 무릎을 꿇고 있는 보살상과 돌기둥 2개가 남아 있다. 이는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과 공양보살석등을 계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마도 보살상의 머리에는 석등이 있었을 것이고, 돌기둥은 그 석등을 지지하던 기둥이었을 것이다.
3. 당동마을, 남악사터
지리산은 신라시대 부터 5악중 하나인 남악으로 지정되어 국가의 보호와 산신을 모시는 제사가 행해졌다. 당동이라는 마을이름도 남악사라는 사당이 있다고 지어진 이름이다. 통일신라는 지방통치의 수단으로 삼산오악을 배치하면서 성모천왕(聖母天王)을 지리산의 산신으로 모셨다. 천왕봉에는 성모천왕을 모신 성모사가 있었고, 이 성모사는 지리산의 남악사와는 다른 것이다. 성모사가 민간인들이 섬기고 관리한 신당(神堂) 이라면, 남악사는 지방관리들이 지리산신제를 지낸 사묘(祠廟)였다. 남악사는 고려 초에 태조 왕건의 고려왕조 창업을 기념하면서 세워진 것으로 알려졌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지리산신사가 남원부의 남쪽 64리 되는 소아리(小兒里)에 위치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지리산신사가 남악사로 추정된다. 남악사가 지리산 노고단에서 옮겨 온 것이라는 설이 있지만 명확한 근거는 없으며, 온당리 당동에 고려시대 남악사가 창건되었다가 조선 초에 남악사가 지리산신사로 중창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남악사와 지리산신사는 시대를 달리한 동일한 사묘인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내내 지리산의 남악사에서 춘추(春秋)로 국행제의(國行祭儀)가 거행되었으며, 지리산의 산신이 영험하여 가뭄이 심할 때 기우제를 지내면 비를 내리게 해 주기도 했다고 한다. 또한 전염병이 크게 돌면 지방관청에서 향과 축을 보내어 여제(厲祭)를 지냈다. 지방 수령들은 국가적인 재앙이 닥치면 지리산 산신에게 제사를 올려 백성들에게 복을 내리고 은택을 베풀기를 기원하였다.
4. 난동마을, 당산소나무
난동마을은 마을 뒤에 있는 난약사(지금은 반야사)라는 절의 이름과 난초가 많아서 난곡, 난초골이라 불리운데서 유래한다. 난동마을에는 할아버지 당산과 할머니 당산, 두 개의 당산이 있다. 마을입구에 서 있는 당산나무가 할아버지 당산나무라면, 난동마을의 할머니 당산나무는 마을 안쪽에 자리를 잡고 마을의 안녕을 지켜주고 있다.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하루 당산제를 지내는데, 할아버지 나무가 있는 윗 당산과 할머니 나무가 있는 아랫 당산 두 곳에서 당산제를 거행한다. 할아버지 당산나무 옆에는 마을 밖에서 들어오는 액을 막고, 마을 안에서 흘러나가는 복을 막아 준다는 수구(水口)막이 역할을 하는 조탑이 있다.
5. 구리재, 지초봉
난동마을에서 임도를 따라 올라가면 구리재에 닿는다. 구리재는 구렁이를 뜻하는 ‘구리’에서 가져온 이름으로 재에 오르는 길의 생김새가 구렁이가 움직이는 것처럼 구불구불 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구리재에서 산길로 조금 올라가면 지초봉이다. 예전에는 할미성(할미봉)이라 불렀다. 지방관아의 쌀을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합미성(合米城)이 조선후기 할머니 성쌓기 설화와 결합하면서, 할미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우게 되었다. 지초봉 꼭대기에는 구례읍의 산성봉과 신학리 함미성을 연결하는 봉화대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지초봉 정상에 서면, 반야봉과 노고단에서 뻗어나간 서북능선, 종석대에서 뻗어온 간미봉능선, 만복대에서 갈라져 나와 구례와 남원을 가로지르는 견두산능선이 장쾌하게 보이고, 그 아래로 구례의 너른 들이 한눈에 펼쳐진다.
6. 구례수목원
구리재에서 임도를 따라 내려서면 구례수목원에 도달한다. 지리산둘레길은 수목원을 비켜가는 계곡길을 따라 이어진다. 구례수목원은 2020년 전라남도 공립수목원 제1호로 지정되었으며, 54ha의 산림면적 곳곳에 힐링숲속 정원으로 아름답게 조성된 봄향기원, 겨울정원, 그늘정원, 외국화목원, 기후변화테마원, 자생식물원, 계류생태원 등 13개의 주제정원과 방문자안내소, 전시온실 및 종자학습관 등이 자리하고 있으며, 다양한 자생나무들과 꽃들로 식재되어 생태학습과 체험을 즐기기에 좋은 곳이다.

구례시외버스터미널  061-780-2730
………………………………………………………………

개인택시 783-5000(사무실)

버스 이용안내

• 서울(서울남부터미널) → 구례(구례공용버스터미널) → 방광
• 광주(광주종합버스터미널) → 구례(구례공용버스터미널) → 방광
• 대전(대전복합터미널) → 구례(구례공용버스터미널) → 방광
• 대구(서부정류장) → 구례(구례공용버스터미널) → 방광
• 부산(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구례(구례공용버스터미널) → 방광

기차 이용안내

• 용산역 → 구례구역 → 구례(구례공용버스터미널) → 방광
• 서울역 → 환승 → 구례구역 → 구례(구례공용버스터미널) → 방광
• 광주송정역 → 구례구역 → 구례(구례공용버스터미널) → 방광
• 광주역 → 환승 → 구례구역 → 구례(구례공용버스터미널) → 방광
• 서대전역 → 구례구역 → 구례(구례공용버스터미널) → 방광
• (동)대구역 → 환승 → 구례구역 → 구례(구례공용버스터미널) → 방광

※ 기타안내
• 서울(서울남부터미널 / www.nambuterminal.co.kr / 02-521-8550)
• 광주(광주종합버스터미널 / www.usquare.co.kr / 062-360-8114)
• 대전(대전복합터미널 / www.djbusterminal.co.kr / 1577-2259)
• 대구(서부정류장(서부시외버스터미널) / 1688-2824)
• 부산(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www.busantr.com / 1577-8301)
• 기차관련정보(www.korail.com / 1544-7788 / 1588-7788)


[2023.11.21. 기준] 민박여부 반드시 확인 전화를 해 보시길 바랍니다

[방광]
[당동]
[산동]

구리재

구리재 정상 정자 다리에 위치